생활정보

부가가치세 란?

mire930 2025. 3. 19. 16:01
728x90
반응형

부가가치세

 오늘은 세금의 일부 중 부가가치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. 세금의 종류가 많이 있으니 간략하게 확인해 보는 것도 좋을 듯 하고요.

부가가치세(VAT, Value Added Tax)란?

 

부가가치세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생산·유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**부가가치(새롭게 창출된 가치)**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이야. 즉, 소비자가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부담하는 간접세라고 보면 됩니다.


 부가가치세의 특징

  - 간접세: 부가가치세는 소비자가 부담하지만, 사업자가 대신 징수해서 정부에 납부
  - 소비세: 실제로 세금을 내는 사람은 최종 소비자
  - 전단계세액공제법(영세율 및 세금환급 가능): 기업이 원재료를 구매할 때 낸 부가세는 최종 소비자가 부담하는 부가세에서 차감할 수 있음


 부가가치세율 (한국 기준)

 - 일반적인 부가가치세율: 10%
 - 영세율 (0%): 수출 상품, 국제운송 서비스 등은 부가세가 면제됨
 - 면세 대상: 기초 생필품(쌀, 채소 등), 의료, 교육 등은 부가세가 붙지 않음


 부가가치세 계산 방식

부가가치세는 '매출세액'에서 '매입세액'을 뺀 금액을 납부하는 방식입니다. 

 

 - 부가세 계산 공식

   납부할부가세=매출세액−매입세액납부할 부가세 = 매출세액 - 매입세액

예제

  • A 회사가 1,000만 원짜리 제품을 팔면 부가세 10% = 100만 원을 소비자로부터 징수
  • A 회사가 원재료를 사면서 500만 원을 지불했고, 그때 부가세 10%로 50만 원을 이미 냄
  • 이 경우 A 회사가 실제로 납부해야 할 부가세 = 100만 원 - 50만 원 = 50만 원

부가가치세 신고 및 납부

  - 신고 기간: 일반과세자는 1년에 2번 (1월, 7월) 부가세를 신고
  - 간이과세자: 연 매출이 8천만 원 미만이면 간이과세자로 신고, 세금 부담이 줄어듦
  -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의무: 연 매출 3억 원 이상 사업자는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해야 함


 부가가치세와 소비자의 관계

부가세는 우리가 물건을 살 때 자동으로 포함되는 세금이야. 예를 들어, 마트에서 1,100원짜리 음료수를 샀다면, 실제 제품 가격은 1,000원, 부가세는 100원이 포함 됩니다.


 부가가치세가 없는 경우

  - 면세 사업자(부가세 신고 의무 없음)

  • 병원, 학원, 농산물 판매자 등은 부가가치세 면제
  • 이들은 부가세를 따로 청구하지 않음

  - 영세율 사업자(0% 부가세 적용)

  • 수출업체는 부가가치세를 0%로 적용받고, 이미 낸 부가세를 환급받을 수 있음

 정리

✔ 부가가치세(VAT)는 상품·서비스 소비 시 부과되는 10% 세금
✔ 최종 소비자가 부담하지만, 사업자가 대신 징수하여 납부
✔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공제 후 납부
✔ 신고·납부는 일반과세자는 1년에 2번, 간이과세자는 연 1회
✔ 면세 품목(교육, 의료 등)과 영세율 적용(수출업체) 사업자는 부가세 부담 없음

 

728x90
반응형
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상속세와 증여세에 대한 개요  (4) 2025.03.21
제산세에 대한 개념  (4) 2025.03.19
소득세에 대한 개요  (2) 2025.03.19
청년도약계좌에 대한 개요  (3) 2025.03.18
연금저축펀드에 대한 개요  (6) 2025.03.14